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 정신분석적 상담 - 프로이드_정신분석이론

by 시아찡 2024. 7. 9.
반응형

 

 

1. 정신분석적 상담 - 프로이드_인간관

정신분석의 기본가정은 정신적 결정론과 무의식의 측면에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세 가지 성격 구조간의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에 대해 우리의 정신이 어떠한 방식으로 방어하는지,

radiant-smiler.tistory.com


1. 정신분석이론

1) 의식·전의식·무의식

프로이드의 가장 큰 공헌 중 하나는 무의식과 의식에 대한 개념을 수립한 것에 있습니다.

  • 의식 : 개인이 주의를 기울이는 순간 곧 알아차릴 수 있는 정신세계의 영역입니다. 우리가 자각하고 있는 의식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의식은 각성상태에서 인식되는 행위나 감정이 해당됩니다.
  • 전의식 : 기억의 저장고에 있는 내용으로, 쉽게 회상되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 노력하면 의식할 수 있는 정신세계 영역입니다. 전의식은 의식과 무의식의 통로 역할을 해줍니다.
  • 무의식 : 수면 아래 빙산의 일각처럼 정신세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의식이나 전의식에 포함되지 않고 특별한 노력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의식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영역입니다. 무의식은 개인이 지닌 경험과 기억 그리고 억압된 욕구나 동기들로 구성되어 있어 우리의 사고의 원천이 무의식에 저장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무의식은 인식 영역 밖이므로 스스로 영원히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프로이드는 모든 신경증적 증상이나 행동의 근원을 무의식에 두었기 때문에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기능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무의식에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자유연상과 꿈의 해석을 통해 환자 내면에 자리 잡은 무의식의 세계에 접근하려고 하였습니다. 

2) 성격 구조

프로이드는 성격의 구조를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구분하였습니다. 각 영역은 고유의 기능과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세 영역 중 지나치게 한쪽으로 에너지가 모일 때 부조화가 나타나며 환경에 부적응하게 된다고 합니다. 

  • 원초아(id) : 신생아 때부터 존재하는 정신에너지의 원천적 저장고입니다. 원초아는 본능적인 욕구를 관리하며, 원시적인 쾌락 추구를 즉시 만족시키려고 하는 쾌락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원초아는 만족을 지연시키는 방법을 알지 못해서 불쾌한 긴장감을 바로 해결하고 싶어 하고, 외부 현실과 타협하지 않고 주관적 현실과 내부의 욕구에만 충실합니다. 원초아의 이러한 시도는 일차 과정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하지만 원초아는 대부분 무의식 영역에 속해 있어 잘 의식되지는 않습니다. 
  • 자아(ego) : 외부의 현실 세계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에서 두 기능을 조절하고 타협하며 중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아는 현실원리에 순응합니다. 자아는 현실에 근거하여 적절한 환경조건이 준비될 때까지 원초아의 욕구 충족과 긴장의 방출을 보류하며 현실적이고 합당한 방법으로 만족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고 계획합니다. 자아는 원초아의 요구와 현실 그리고 초자아의 요구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이차 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초자아(superego) : 개인의 도덕적 가치관을 대표하며, 이상적이고 비현실적이어서 완벽을 추구합니다. 자신의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며 완벽함을 추구합니다. 프로이드는 초자아에는 양심과 자아 이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양심과 자아 이상으로 구성되는 초자아는 외부, 주로 부모로부터 주어지는 보상과 벌을 통해 형성된 가치체계가 내면화된 것입니다. 초자아는 바로 성격의 세 체계 중 인간 행동의 도덕적 규제를 담당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 체계가 상반된 목적을 추구하고 서로 충돌하는 일 없이 균형을 유지하는데, 이 체계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어긋나는 경우에는 자아가 원초아의 욕구 충족을 유보하기도 하고, 초자아에 지나친 도덕적 규제를 조정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때 자아가 체계 간의 조절 기능을 충분히 하지 못할 정도가 된다면 세 체계 간의 갈등이 야기되어 성격장애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반응형